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1

Five number summary It is, literally, a summary of data by using five numbers: Minimum, 1st percentile, Median, 3rd percentile, and Maximum. Box Plot A box plot is drawn using these five numbers: Outliers in Box Plot In a box plot, outliers are defined as value Q3 + 1.5 * IQR 2022. 8. 2.
인생 살기 29일차 꿈자리가 사나웠다. 내가 나한테 무의식 중에 가하는 압박이 좀 있던 건가? 그럴 필요 없는데. 어제 조선생님과 만남을 하면서 느꼈던 건, 시기에는 시기에 맞는 과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. 물론 경제공부처럼 시기를 뛰어넘어 언제나 도움되는 건 있지만, 그런 게 아닌 이상 내 나이에 맞지 않는 고민을 지속하는 건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억지로 입는 것과 같다. 물론 해 두어서 나쁠 건 없지만, 그보다 중요한, 지금 내가 해야 할 일을 생각하고 열심히 하자. 진로 고민도 관심있게 보면서 계속 생각하되, 굳이 여유 시간까지 그에 잡아먹고 괴로워하진 말자. 27일차 할 일: 25일차, 26일차 할 일 중에 못 한 수필 점검과 딴 짓 구체화시키기 / 통계학 공부 계속 / 스스로 외모와 습관 가꾸는 법 생각해 보기 .. 2022. 8. 1.
인생 살기 28일차 26일차 할 일: 수필 다시 점검 / 통계학 공부 / ‘딴 짓’에 대해 Refining 시도하기. 아니면 적어도 어떻게 여러 가지를 체험해 볼 것인지, 거기서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 구체적이고 실리가 있는 기준을 세우기 27일차 할 일: 25일차, 26일차 할 일 중에 못 한 수필 점검과 딴 짓 구체화시키기 / 통계학 공부 계속 / 스스로 외모와 습관 가꾸는 법 생각해 보기 수필 점검 - 서론의 명제: 우리(의대생)는 만들어진 문제를 푼다 본론의 명제: 하지만 사람(환자)은 문제와 다르다. 문제는 푸는 사람인 우리의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이지만, 환자는 우리와 관계없이 존재한다. 우리는 단지 환자를 도울 뿐이다. 결론의 명제: 우리는 문제 풀기에서 졸업해, 사람을 보는 의사가 되어야 한.. 2022. 7. 31.
(공유) 멘탈 강해지는 특급 비법 https://blog.naver.com/dudfla3/222834337338 멘탈 강해지는 특급 비법 그냥 행동해요. 앉아만 있지 말고, 공부만 하지 말고, 너무 생각하지 말고, 그냥 목표 설정 잘 했으면, 한... blog.naver.com 그냥 행동해요. 앉아만 있지 말고, 공부만 하지 말고, 너무 생각하지 말고, 그냥 목표 설정 잘 했으면, 한번 해봐요. ​ 멘탈이 강한 사람들은 고난이 다 있었어요. 그 사람들도 처음엔 멘붕에 자책에 원망도 했어요. 포기하고 싶을 수도 후회도 됐을 거예요.​ ​ 그런데 그걸 극복하잖아요? ​ 꼭 성공만이 극복이 아니에요. ​ 실패도 극복으로 만들 수 있어요. 여기서 객관화와 반성을 확실히 해두는 거예요.​ ​ 그리고 또 해요. 또 해요. 무언가 작은 성취를 이뤄낼.. 2022. 7. 31.
인생 살기 27일차 25일차 할 일: 2번, 6번 다시 고민해 보기 / 수필 / 이동익 교수님 영상 다시 보기 26일차 할 일: 수필 다시 점검(2주밖에 안 남았다!) / 내일 ‘인생 살기’ 기록은 위에 써 둔 데로 복습을 하면서 시작하기 / 통계학 공부 (필요 시 정리하면서 보기) / ‘딴 짓’에 대해 Refining 시도하기. 아니면 적어도 어떻게 여러 가지를 체험해 볼 것인지, 거기서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 구체적이고 실리가 있는 기준을 세우기 복습의 목적은 1) 내가 다음날 하고자 했던 걸 잊지 않고 2) 생각의 흐름을 잇게 해 주며 3) 아쉬운 과거일지라도 직시하게 만드는 습관을 가지고 4) 행동력과 추진력을 가지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다. 목적을 잊지 않도록 하자. 통계학 - T 검정: 두 집단이 같은 모집단.. 2022. 7. 31.
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편견 흔히 '자폐' '자폐증' 등으로 불리는 질환의 정식 명칭은 '자폐 스펙트럼 장애'입니다. 영어로는 Autism Spectrum Disorder(이하 ASD) 라고 합니다. 말 그대로 '스펙트럼'인지라, 흔히 생각하는 심각한 이미지의 중증에서부터 매우 경해 심층검사 없이는 정상인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천차만별입니다. 때문에, ASD를 앓는 사람들에게 진단명('자폐증')만으로 '이런 특성이 있겠지'라고 생각하는 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. ASD를 앓고 있는 개개인의 신체적/사회적/정신적 능력은 말 그대로 '케이스 바이 케이스'입니다. 이런 특성 때문에, ASD에 걸린 사람들을 '넌 이럴거야/이런 모습이야/이건 못할거야'라고 배려하거나 생각하는 게, 의도와는 다르게 본인에게 상처나 역차별이 될 .. 2022. 7. 30.
인생 살기 26일차 어제에 이어서 2번과 6번 질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대답해 보자. 2. 의사로서의 삶에서 나는 무엇을 목표로 할 것인가? 어제, 나의 대답은 1) 본업인 의학 쪽에서, 속해 있는 집단의 상위 10% 안에 드는 실력을 갖춘다. 2) 최소 국내에서는 최초(최고X)인 ‘딴짓’을 해 본다. 이때, 이 딴짓은 a) 내가 좋아서 하는 것이여야 하고(즉, 하면서 질리거나 싫지 않아야 하고) b) 자본의 흐름이 월 단위로 나오는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. 이렇게 두 가지였다. 이제 이걸 좀 구체화시켜보자. 1) 상위 10%의 실력 여기에서 상위 10%라는 건 어떤 걸 기준으로 잡아야 할까? 성적? 성과? 성과라고 하면 뭘 기준으로 삼을 것인가? 지금 알기는 어려운 것들이다… 일단 제일 만만한 게 성적이지만, 요새 느.. 2022. 7. 29.
인생 살기 25일차 1일차 때의 마음가짐을 다시 보고자 한다. 내가 1일차에서 계획을 세우기로 다짐했던 것 중 어떤 걸 하였으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세부사항을 정했고, 부족한 건 무엇인지, 남은 방학동안 무얼 할 것인지 생각해보자. 1. 의사의 삶을 온전히 살 것인가? 일단 결론은 아니오 이다. 앞으로의 세상에서 의사라는 직업 하나만으로는 안정적인 미래를 알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다. 만약 그럴 수 있는 세상이라도 의사라는 직업 이외의 무언가는 필요하다. 2. 의사로서의 삶에서 나는 무엇을 목표로 할 것인가? 이 부분을 따로는 생각 안 해 봤는데, 좋은 질문이다. 일단 딴짓을 부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말은, 본업인 의사, 의학도 잘 해야 부업을 할 때 이상하게 생각되거나 조롱받지 않는다는 것이다(사실 당연한 소리다).. 2022. 7. 28.
인생 살기 24일차 수필 - 22일차에서 했던 데로, 주제에 대해서 조금 더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겠다. - 서론의 명제: 우리(의대생)는 만들어진 문제를 푼다 본론의 명제: 하지만 사람(환자)은 문제와 다르다. 결론의 명제: 우리는 문제 풀기에서 언젠가 졸업해, 사람을 보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. - 더 다듬어 볼까? - 서론의 명제: 우리(의대생)는 만들어진 문제를 푼다 본론의 명제: 하지만 사람(환자)은 문제와 다르다. 문제는 푸는 사람인 우리의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, 환자는 우리와 관계없이 존재한다. 결론의 명제: 우리는 문제 풀기에서 졸업해, 사람을 보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. - 그래.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이 좀 더 논리적으로 정리된 것 같다. 결론이 아직 좀 마음에 안 들긴 하는데… - 이렇게 보면 .. 2022. 7. 28.
인생 살기 23일차 통계학 - 공돌이의 수학정리노트 재미있게 보고 있다 - 의학통계학 수업 때 배웠던 것들이 제대로 의미를 갖춰 가고 있다는 느낌이다. - 그러나 어느 정도 Scope로 학습할 건지는 생각을 좀 해 봐야 한다. - 동기는 충분한데,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자. 1) 의학논문을 문제없이 쓰고 읽을 수 있을 정도 2) 의학 실험을 직접 설계할 수 있을 정도 3) 통계와 관련된 학과의 강의를 들을 때 도움이 되는 정도 (빅데이터 등) - 이 정도면 되려나? - 아무튼 학교에서 의학통계학을 배우고, 내가 그때나마 열심히 공부해서 다행이다. 이런 베이스가 없었으면 시작을 하기가 쉽지 않았을 듯 - 좀 다른 이야기지만, 글을 읽을 때 좀 차근차근 읽자. 좋은 글은 차근차근 읽으면 이해가 잘 될 뿐더러, 사실관계에 대해서 .. 2022. 7. 27.
인생 살기 22일차 아침부터 상쾌하게 시작. 역시 햇빛으로 깨어나는 게 제일 좋다. 통계학 - 따로 쓰진 않았지만 꾸준히 영상 듣고 있었다. - Pobability와 Statistics는 서로 연관이 깊은 학문인데, Statistics에서 Probability로 넘어가니 뭔가 기부니가 좋지가 않다. 확률… - 행렬에 대해 기본적인 건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 관련 영상도 시청해 보려고 한다. - 형이 좋은 블로그를 알려 주었다. https://angeloyeo.github.io/ 이 분은 유투브도 한다. - SimpleLearningPro 영상 다 보면 이걸로 공부하면 될 것 같다. 수필 - 동기에게 한 번 피드백을 부탁했는데, 내가 신경 쓰이던 부분을 정확히 캐치했다. - 글의 본문과 결론의 관계에 대한 핵심을 찔렀다. .. 2022. 7. 26.
인생 살기 21일차 다른 병원 견학 계획 - 한강성심병원을 가볼까 했는데, 병상 수가 200병상이 안 된다…? 분위기를 보니 흡사 모 대학의 모 병원처럼 되어버린 것 같은데… 그래도 거리도 가깝고 하니 가볼만은 하지 않을까? 작고 덜 큰 병원이라고 해서 견학으로 얻을 수 있는 게 없지 않다. - 찾아보니 화상치료와 외국인지료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. 특이한 점이라면 구글 검색 결과가 얼마 없다는 점? 특화병원인가? 진료과도 좀 적은 듯해 보인다. - 이런 병원을 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다. 인터넷으로 접한 정보와 실제 현장이 얼마나 다른지, 이런 병원에서는 교수님과 전공의가 어떻게 일하는지도 지켜봐야겠다. - 어차피 입원병동이나 응급실은 못 가볼 터이고 외래만 볼 수 있을 텐데, 살짝 둘러보고 와야겠다. 경영학 - .. 2022. 7. 24.